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뉴스와이어가 제공합니다.
뉴스와이어 제공

성북구, 제2회 성북거리문화축제 ‘다다페스타’ 성료

지난해 이어 다문화가정·이주민·지역 대학·청년·예술가 등 다양한 주체들과 만들어가는 지역 밀착형 축제로 거듭나
지역 주민 8000여 명이 방문해 문전성시

2025-10-02 17:00 출처: 성북문화재단

제2회 성북거리문화축제 ‘다다페스타’ 퍼레이드 모습

서울--(뉴스와이어)--성북구(구청장 이승로)와 성북문화재단(대표이사 서노원)이 지난달 27일 서울 석관초등학교 앞(돌곶이로22길 일대) 거리와 학교 운동장에서 제2회 성북거리문화축제 ‘다다페스타’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2024년 처음으로 성북구 주민들에게 소개된 성북거리문화축제는 올해 2회 차를 맞아 다양한 주민들로 구성된 석관동의 특성을 십분 살려 운영됐으며, 일상에서 문화예술 활동을 만난 지역 주민들은 이에 화답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다’양한 사람들이 ‘다’같이 즐기는 축제를 표방한 ‘다다페스타’는 다문화가정, 이주민들과 함께 세계 음식을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다다푸드마켓’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영상원, 동아리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다다아트마켓’을 주요 콘텐츠로 운영했다.

먼저 세계의 전통 음악과 춤이 함께 어우러지는 이동형 공연인 ‘모두의 리듬, One World Parade’는 성북구를 대표하는 봉제 산업과 이주민들을 상징하는 실과 바늘이 함께 세계를 이어가는 과정을 표현하며 주민들과 함께 축제의 문을 열었다.

지난해보다 커진 ‘다다푸드마켓’에는 손님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는데, 마켓에서 음식을 맛본 한 주민은 음식을 먹으며 축제를 즐기다 보니 마치 몇 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기분이 든다는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지난해에 이어 ‘다다아트마켓’에 참가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한 학생은 배치가 바뀌어서 그런지 지난해에는 그냥 지나가는 손님들이 많았는데 올해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보러 오시는 분들이 많아서 좋았다며, 향후 작품 활동을 해나갈 때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역의 어린이가 참여한 ‘다다어린이마켓’ 참여 어린이의 부모들은 아이가 요즘 가지고 놀지 않았던 장난감들을 직접 가지고 나와서 판매하고, 친구들을 만나서 즐겁게 노는 것을 보니 정말 아이에게 좋은 경험이 됐다는 후기를 남겼다.

그 밖에도 다문화 관련 유관 기관 및 단체의 활동과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로컬인다다’, 다문화공연과 함께 어린이·청소년 공연이 이어진 ‘공연다다’, 세계 전통 의상과 놀이 체험 프로그램이 펼쳐진 ‘다다랜드’까지 알찬 구성으로 진행돼 인근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매우 큰 인기가 있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도 안전을 놓치지 않은 성북거리문화축제 ‘다다페스타’는 행사장 곳곳에 위치한 안전요원들의 안내에 따라 안전하게 진행돼 완성도 있는 축제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또한 석관동의 옛 지명인 ‘돌곶이’라는 이름을 활용해 제작된 ‘돌이’, ‘멩이’ 캐릭터로 만든 봉제인형 키링 굿즈는 특히 어린이 방문객에게 큰 사랑을 받으며 향후 석관동의 마스코트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주민들의 기대를 모았다.

성북문화재단은 올해 두 번째로 열리는 성북거리문화축제 ‘다다페스타’는 성북구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주민들이 하나로 화합해 모두가 같이 만들어낸 행사이자 성과라며,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덕분에 더 많은 주민 여러분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행사를 경험했으리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에도 석관동을 비롯해 장위·월곡 지역 등 상대적으로 문화예술 활동 경험이 많지 않은 동네에서 이러한 활동들이 지속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제2회 성북거리문화축제 ‘다다페스타’ 관련 후기 및 활동들은 성북문화재단 누리집(www.sbculture.or.kr) 및 인스타그램(www.instagram.com/dada_festa)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성북문화재단 소개

성북문화재단은 도서관, 영화관, 미술관, 공연장, 교육센터, 문화회관 등 34개의 다양한 문화 시설을 운영하며, ‘문화로 풍요로운 도시, 성북’이라는 미션 아래 지역 대표 축제, 생활문화와 시각예술 활성화 등 여러 프로그램 및 문화 정책 등을 통해 성북구민의 삶과 문화 발전 및 공동체 강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